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생각하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범죄 예방안내

작성일 : 2025.08.29조회수 : 13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범죄 예방안내

 

KISA,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범죄 집중 대응

출처: https://www.kisa.or.kr/402/form?postSeq=2516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최근 정부는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자영업자 매출 확대를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고 있다. 이 시기를 틈탄 피싱 사기 수법이 이전보다 교묘해지고 있기에 스미싱·스팸 피해 방지를 위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소비쿠폰을 악용한 피싱·스미싱

민생회복 소비쿠폰 제도의 확산은 새로운 피싱 공격 수단이 되었다. 문자메시지나 이메일로 소비쿠폰 신청 대상자에 해당되므로 온라인센터에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등 안내를 보내 개인정보 입력을 유도하는 방식이 늘고 있다. 링크는 가짜 웹사이트로 연결되어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카드 정보 등을 탈취하거나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만든다.

정부기관이나 금융기관을 정교하게 사칭하여 쉽게 속아 넘어갈 수 있기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전 필요한 체크

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은 정부24·지자체 홈페이지 카드사 홈페이지 등 공식 채널 외 신청이 불가하다.

2. 민생회복 소비쿠폰 공식 신청 사이트에서는 카드 비밀번호, 계좌번호 등 민감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

3. [국제발신]/[국외발신] 문구가 포함된 경우 스미싱 문자이므로 URL 클릭 및 전화 수신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스미싱 예방

1. 보호나라(카카오톡 채널) 스미싱·피싱 확인서비스를 이용하여 신고 및 악성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2. 출처가 불분명한 URL은 즉시 삭제하거나 스팸신고를 한다.

3. URL을 통해 휴대전화에 앱을 설치했다면?

   1) 앱 삭제 및 즉시 서비스센터 방문

   2) 악성 앱에 감염된 상태로 금융 앱에 접속했다면, 보안카드 및 금융정보를 모두 폐기하여 재발급 한다.

4. 피싱을 당했다면 즉시 신고 후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주변인에게 피해 사실을 알린다.

 

신고번호 안내

1.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 1566-1188

2.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118

3. 경찰청 112